목 차
제1장 교정용 기구 및 재료
1. 교정용 기구
2. 교정용 호선
3. 교정용 재료 및 장치
제2장 브라켓 시스템 및 브라켓 포지셔닝
1. 브라켓 시스템
1)브라켓 분류
2)브라켓 선택시 고려해야 할 사항
3)비발치 증례에서의 브라켓 선택
4)소구치 발치 증례에서의 브라켓 선택
2. 브라켓 포지셔닝
1)정확하게 브라켓 위치시키기
(1)브라켓 위치의 기준
(2)Bracket positioning error
(3)임상에서 브라켓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2) 개개 치아 브라켓 부착 및 주의사항
(1)상악 중정치
(2)상악 측절치
(3)상악 견치
(4)상악 제1소구치, 제2소구치
(5)상악 제1대구치, 제2대구치
(6)하악 전치
(7)하악 견치
(8)하악 제1소구치, 제2소구치
(9)하악 제1대구치, 제2대구치
3)다양한 증례의 bracket positioning
제3장 레벨링과 치아 배역
1. 기본적인 교정 용어
1)레벨링과 치아배역
2)단순 레벨링(Simple leveling)과 전략적 레벨링(strategic leveling)
3)Cinch back bends
4)Tight cinch back & loose cinch back
2. 전략적인 교정용 장치 부착 Strategic bonding
1)Open coil spring(OCS)의 활용
2) 대구치 회전의 조절
3)상악 교합평면의 조절(Management of UOP)
4)구치부 교합평면의 조절(Managemant of POP)
5)교합력의 제거
3. 레벨링과 치아 배열에 사용하는 교정용 호선
1)초기 교정용 호선(lnitial archwire)
2)레벨링 및 치아 배열을 위한 호선(Leveling archwire)
4. 전략적인 레벨링 및 치아 배열(Strategic leveling and alignment)
1)비발치 치료 전략
2)소구치 발치 치료 전략
제4장 공간 폐쇄
1. 공간 폐쇄방법(Space closing method)
1)슬라이딩 방법과 루프방법(Sliding method versus loop method)
2)공간 폐쇄방법(Space closing method)
(1)상악 견치 후방이동(Upper canine retraction)
(2)하악 전치 후방이동(Lower En-masse retraction)
(3)상악 4전치 후방이동(Upper anterior teeth retraction)
2. 공간 폐쇄를 위한 호선(Space closing archwire)
3. 고정원(Anchorage)
4. Retrusive control in clinical othodontics
5. 공간 폐쇄를 위한 호선의 제작방법
제5장 마무리
1. Finishing arch-wire
2. MEAW
1)MEAW 구조 및 기본 형태
2)MEAW 기능 및 역학
3)MEAW 제작에 필요한 기구 및 재료
4)MEAW 굴곡 순서
(1)상악 MEAW
(2)하악 MEAW
5)1st, 2nd, 3rd order bend in MEAW
6)완성된 MEAW
7)완성된 MEAW의 열처리
3. MEAW의 처방
4. MEAW의 기본적인 조절
5.Elastics in MEAW
6.특별한 상황에서의 Finishing 방법
1)MEAW adjustment for midline correction
2)Expansion arcwire in MEAW
3)MEAW adjustment in case of peg lateralis
제6장 보정장치
1. 일반적인 형태의 보정장치
2. 상악 전치부 총생을 가진 환자의 보정장치
3. 하악 전치부 총생을 가진 환자의 보정장치
4. Ⅲ급 부정교합 환자의 보정장치
5. Ⅱ급 부정교합 환자의 보정장치
6. 과개교합을 가진 환자의 보정장치
7. 개방교합을 가진 환자의 보정장치
8. 구치부 반대교합을 가진 환자의 보정장치
9. Space를 가진 환자의 보정장치
제7장 증례
증례1: 상.하악 제1소구치 발치 증례
증례2: 상악 제1소구치 및 하악 제2소구치 발치 증례
증례3: Ⅱ급 부정교합 환자의 비발치 증례
증례4: Ⅲ급 부정교합 환자의 비발치 증례
증례5: 정중앙 변위 환자의 비발치 증례
참고문헌
찾아보기
![]() | ||||
|